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럼피스킨병 국내 첫 발생: 원인, 해결책 및 우유 안전성

by 아뚬 2023. 11. 5.

목차

    럼피스킨병(LSD)은 2023년 10월 국내 첫 발생되면서 축산업에서 우려되는 문제로 농부와 수의사 모두 답을 찾고 있습니다. 축산 농가와 유제품에 의존하는 사람들에게 중요한 관심사입니다. LSD의 원인, 잠재적 해결책, 감염된 동물의 우유를 섭취하는 것이 안전한지 알아보겠습니다. 이 질병을 이해하는 것은 농부와 소비자 모두에게 중요하기 때문에 소를 건강하게 유지하고 유제품을 안전하게 유지하는 데 필요한 통찰력을 제공할 것입니다.

     

     

    럼피스킨병

     

     

     

    럼피스킨병(LSD)의 원인

     

     

     

    현재 한국에서 지난 2023년 10월 20일 국내에서 첫 발병 확인이 되어 급속도로 퍼지는 럼피스킨병의 원인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현재까지 두 자리 숫자를 기록하며 매몰 처분이 되었습니다. 증상은 4일 동안 41도에서 42도의 높은 고열이 나타내게 되고 사료섭취가 줄며, 과도하게 침을 흘리는 증상을 보여주게 됩니다. 외형적으로 피부, 눈, 이부, 유방, 생식기등에서 다양한 크기(2~5cm)의 결절이 생기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러한 특징은 마치 구제역을 연상시킵니다. 그러나, 구제역과 럼피스킨병(LSD)은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구제역은 열 발생과 침 흘리는 증상은 같으나 결절은 생기지 않습니다. 대신 구강 점막이나 발굽 부위에 수포가 발생하는 것이 다른 점이라 할 수 있습니다. LSD바이러는 1929년 아프리카 잠비아에서 발생한 병이며 100년이 지난 지금 국내에서 발생한 이유를 전문가들은 이렇게 말합니다. 1990년대 이스라엘에서 처음 발생한 이후 10년까지 중동지역에서 발생하다, 중앙아시아, 인도, 중국, 러시아를 통해 동남아시에 확산되면서, 현재 국내에 유입된 것으로 파악하고 있습니다. LSD 바이러스(LSDV) 전염에 의해 발생하는 LSD는 주로 소에게 영향을 미치며 때로는 물소에게도 영향을 미치는 바이러스 감염입니다. 이는 Poxviridae과에 속하는 LSD 바이러스(LSDV)에 의해 발생합니다. LSD의 원인을 이해하는 것은 예방과 통제에 매우 중요합니다. 럼피스킨병(LSD)은 전염성이 매우 높으며 주로 감염된 동물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퍼집니다. 또한 흡혈 곤충(예: 진드기 및 파리)과 바늘이나 주사기와 같은 오염된 장비와 같은 매개체를 통해 전염될 수도 있습니다. 효과적인 통제 조치를 구현하려면 이러한 전송 경로를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LSD는 발열, 식욕 부진, 특징적인 피부 결절 발생 등 뚜렷한 임상 증상을 나타냅니다. 이 결절은 몸 전체에서 발견될 수 있으며, 감염된 소의 불편함과 우유 생산량 감소를 유발합니다. 이러한 증상을 조기에 식별하는 것은 신속한 격리와 치료를 위해 중요합니다. 감염된 동물, 무는 곤충, 오염된 매개물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전염되는데, 바이러스는 상처, 점막 또는 온전한 피부를 통해 몸에 들어갑니다. 일단 안으로 들어가면 복제되어 피부에 특징적인 덩어리가 생깁니다. 기후와 환경 요인도 질병의 확산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럼피스킨병은 축산업계의 중요한 관심사이지만, 그 원인을 이해하고 효과적인 해결책을 시행하면 그 영향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직접적인 접촉, 매개충, 오염된 장비나 시설을 통해 전파되며, 높은 습도와 같은 기후 및 환경 요인도 유병률에 영향을 미칩니다. 과밀, 열악한 위생, 감염된 동물의 무리 유입 등 여러 위험 요소가 LSD 확산에 기여하기 때문에 적절한 차단방역 조치와 예방접종을 통해 이러한 위험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럼피스킨병(LSD)에 대한 해결책

     

     

     

    럼피스킨병을 통제하고 관리하는 것은 소와 유제품을 보호하기 위해 필수적입니다. LSD를 예방하고 가축의 안녕과 농부의 생계를 위해 필수적입니다. 대표적으로 백신 접종은 질병의 심각성과 확산을 줄이기 위해 사용 가능한 백신으로 질병 통제에 중요한 도구이며, LSDV에 대한 예방접종은 감염의 위험을 크게 감소시키고 질병이 발생할 경우 심각성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주로 농가에서 조기 발견 및 보고는 신속한 조치 및 억제를 위해 필수적으로 협조해야 하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농부들은 그들의 구체적인 필요에 맞춘 백신 프로그램을 수립하기 위해 수의사와 긴밀히 협력해야 합니다. 현재 국내의 사육되고 있는 소는 400만 마리 정도 되지만, 정부에서 확보한 백신은 54만 마리 분으로 럼피스킨병(LSD)이 국내의 또 다른 어느 지역에 언제 발생할 수 있을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백신을 접종하지 못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백신의 항체가 지속되는 기간은 2년에서 3년 정도 이기 때문에 향 후 발생시기를 맞추어서 접종하는 전략으로 가는 것이 적절한 방법일 수 있습니다. 또한 감염된 동물을 격리하고 좋은 위생 관행을 유지하는 것과 같은 엄격한 생물 보안 조치를 시행하는 것은 발병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엄격한 생물 보안 조치를 시행하는 것은 LSDV가 무리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이러한 조치에는 새로운 동물을 격리하고 양호한 위생 관행을 유지하며 벡터 개체군을 통제하는 것이 포함됩니다. 생물 보안은 감염 위험을 최소화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다음으로 기피제 및 방충 하우징 사용과 같은 곤충 통제 또한 LSD 예방에 기여합니다. 감염된 동물은 격리되어야 하고, 질병 전염을 막기 위해 철저한 세척과 소독 관행이 있어야 합니다. 방충 방제는 LSD 예방의 또 다른 필수적인 측면으로 방충제를 사용하고 방충 주택을 제공하는 것은 방충 벡터를 통한 질병 전염의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농장주들도 LSD 발병 사례의 조기 발견과 보고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신속한 대응과 억제는 광범위한 발병을 예방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감염된 소의 우유를 마시는 것이 안전한가요?

     

     

     

    저를 비롯해 많은 소비자들은 종종 럼피스킨병(LSD)에 감염된 젖소의 우유를 마셔도 안전한지 궁금해합니다. 감염된 젖소의 우유가 걱정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적절한 예방책을 통해 우유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바이러스는 주로 동물의 피부와 림프절에 영향을 미치고 생산되는 우유나 고기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안전한 것으로 간주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농가에서는 여전히 엄격한 차단방역 조치를 준수하여 감염된 동물이 우유 생산 과정에 포함되지 않도록 하고 착유 장비를 철저하게 소독해야 할 것입니다. 특히 저온 살균은 감염된 소의 우유는 저온 살균 후에 안전하게 소비될 수 있어야 하는데, 저온 살균은 LSDV를 포함하여 유해한 병원균을 죽이기 위해 우유를 특정 온도로 가열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이 과정은 우유가 소비하기에 안전하도록 보장합니다. 또한 적절한 처리가 필요합니다. 우유의 수거 및 가공과정에서 적절한 위생과 위생을 유지해야 하며, 이를 통해 바이러스의 오염 및 전파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유제품의 안전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엄격한 품질관리 기준을 준수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지속적인 테스트 및 모니터링으로 정기적으로 소의 건강을 관찰하고 질병이 지역에 만연한 경우 정기적인 LSD 검사를 고려해야 할 것입니다. 감염된 동물을 신속하게 확인하면 효과적인 통제 조치가 가능하며 오염된 우유가 시장에 유입될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럼피스키병(LSD)에 대한 원인, 해결 방법 및 우유를 섭취해도 안전한가에 대한 고려 사항을 이해하는 것은 축산 농가와 소비자 그리고 나와 주변인들 모두에게 중요합니다. 올바른 예방 조치를 취하고 적절한 우유 가공을 보장함으로써 소와 유제품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현재 안전한 공정을 거처 가공된 유제품만 유통된다고 하니 안심하시고 드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이후 모든 대응은 정부기관에서 처리 중이며 지속적인 추이를 지켜봐야 하겠습니다. 현재 국내에서는 매몰처분된 소에 대하여 100% 보상을 지급할 계획이라고 하니 그 사실관계를 담당기관에 문의하여 확인하시고 축산 농가에서는 발병 의심이 되면 바로 신고를 취하시는 것이 좋을 수 있습니다.